HOME 사이버홍보실 보도자료
사이버홍보실
Public Relations
언론보도

병원 간호사 사직자 10명 중 8명은 5년 이내 경력자

작성자 홍보
2024.03.19
조회 3062

병원 간호사 사직자 10명 중 8명은 5년 이내 경력자

과다한 업무·업무 부적응’ ‘질병’ ‘일가정 양립의 어려움등 꼽아

숙련된 간호인력 확보와 지속가능한 인력 확보 위한 근무환경 개선대책 시급

 

 

병원 간호사 사직자 중 5년 이내 경력자 비율이 무려 80.6%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그 주된 이유로 과다한 업무와 업무 부적응을 꼽았다. 이에 따라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숙련된 간호인력의 안정적인 확보와 지속가능한 인력 확보를 위한 근무환경 개선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대한간호협회가 병원간호사회의 병원간호인력 배치현황 실태조사결과 자료를 재분석한 결과 병원을 사직하는 간호사 중 1년 미만이 43.4%로 가장 많았다. 1년 이상에서 3년 미만 20.5%, 3년 이상에서 5년 미만 16.7%인 것으로 나타나 매년 병원을 사직하는 간호사의 80.6%5년 미만의 경력을 가진 것으로 조사됐다.

 

[] 병원 간호사 근무연수별 사직 현황

근무연수

사직률

1년 미만

43.4%

1년 이상3년 미만

20.5%

3년 이상5년 미만

16.7%

5년 이상10년 미만

8.1%

10년 이상15년 미만

5.6%

15년 이상20년 미만

3.5%

20년 이상

3.8%

자료: 병원간호사회, 2023 병원간호인력 배치현황 실태조사 재구성

 

간호사들이 병원을 사직하는 이유로는 과다한 업무와 업무 부적응’(20.8%)이 가장 많았다. 이어 타병원으로의 이동(14.4%) 질병(11.2%) 타직종으로의 전환(10.8%) 교대근무 및 야간근무(6.3%) 일가정 양립의 어려움 5.8% 급여 불만족 3.7% 등의 순이었다.

 

특히 질병으로 인한 사직 비율도 20189.6%에서 202211.2%1.6%포인트나 상승했다.

 

간호사는 업무특성상 교대야간근무, 장시간 근로, 환자 이송 등의 근골격계질환 위험요인, 감정노동으로 인한 직무스트레스, 언어적신체적 폭력 등에 노출되어 있다.

 

간호사를 아예 그만두고 현장을 떠나는 탈() 간호사 비율도 높았다. 타직종으로의 전환 비율은 20189.4%에서 202210.8%1.4%포인트 상승했다.

 

이에 따라 병원 간호사 사직률도 202014.5%, 202115.8%, 202216.0%로 매년 상승하고 있다.

 

대한간호협회는 이와 관련 숙련된 간호인력의 안정적 확보와 지속가능한 인력 확보는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필수적이라면서 힘들게 양성된 전문인력인 간호사들이 왜 장기근속을 못하고 의료현장을 떠나는지에 대해 근본적인 해결책 마련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간호사들이 과다한 업무와 교대 및 야간근무로 인해 일·가정 양립에 어려움을 겪는 것은 정부의 저출산 대책에도 역행하고 있는 것이라며 여성 비중이 높은 간호사들을 위한 특단의 대책마련과 함께 직업상 가질 수밖에 없는 유해위험요인으로부터 간호사들을 보호할 수 있는 방안마련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신규간호사의 경우 현장 부적응 등을 이유로 1년 이내 사직률 역시 매년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5년 새 14.7%포인트(201842.7% 202257.4%)나 급등했다. 사직 이유로는 업무 과다와 부적응’(40.2%)이 가장 많았다.

 

그러나 앞으로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에 교육전담간호사 배치가 의무화되면서 신규간호사의 사직률은 크게 낮아질 전망이다.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교육전담간호사 배치 의무화는 교육전담간호사 배치 등을 골자로 한 의료법 일부개정법률안(대안)이 국회 본회의를 거쳐 2023519일 공포됐다. 올해 520일부터 시행된다.

 

공포된 의료법 개정안에는 병원급 의료기관에 신규간호사나 간호대학생에게 직무수행에 필요한 지식을 교육할 자격을 갖춘 교육전담간호사 배치를 명시하고 있다. 또 국가가 교육전담간호사 운영에 필요한 비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지원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의료기관이 교육전담간호사 배치 기준을 위반하면 보건복지부 장관 또는 지자체장은 위반사항에 대해 시정명령을 내릴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파일 1 다운로드 [1710831291_151000.hwp : 137KB]
다음 글
이전 글